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가상머신
- representation learning
- linux
- 관리
- Language Intelligence
- centOS
- 설치
- 텐서플로우
- vue
- python 설치
- vmware
- Kali
- TensorFlow
- ML
- 설정
- server
- 칼리
- Python 기초
- Machine Learning
- 리눅스
- 머신러닝
- Visual Intelligence
- Python
- 선형회귀
- 운영체제
- xshell
- Windows
- vuejs
- 시퀸스 자료형
- Network
- Today
- Total
homebody's blog
[Kali]설치 본문
주소창에 https://www.kali.org 입력
상단에 위치한 Downloads 탭을 클릭
Kali Linux 64bit를 HTTP로 다운
운영체제 설치를 위해 가상머신 생성 하기
VMware을 켜고 File->New Virtual Machine 선택
Workstation 14.x 선택
-> 메모리 64GB, 16개 프로세서, 10개 NIC, 8TB 용량 까지 가능
운영체제를 나중에 iso파일로 설치함
Kali Linux는 Debian 계열의 Linux로 8 버전으로 만들어짐
그리고 다운 받은 iso파일이 64bit 이므로
Debian 8.x 64-bit를 선택
가상머신의 이름을 원하는 것으로 바꾸고
VMDK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지정
이름을 바꾸었으면 Location 마지막단에
그림과 같이 \이름 을 넣음
core 수를 2개로 선택
메모리 2GB면 충분함
네트워크 타입은 NAT로 설정
bridge는 실제 PC처럼 사용이 가능
NAT는 내부, 외부 전부 통신 가능
Host-only는 내부만 통신 가능
Host-only가 외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NAT기능을 가진 라우터가 있어야 함
첫번째 옵션을 선택하면 disk size만큼의 크기가 지금 당장 할당 되지만
체크를 하지 않으면 용량을 사용할 때 필요한 만큼 더 할당함.
single file로 선택하면 vmdk파일이 1개로 생성(관리하기 편함)
multiple files로 선택하면 vmdk파일이 여러개로 생성(vmdk 전송시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vmdk만 다시 전송하면 됨)
CD/DVD에 kali의 iso파일을 삽입
전원 ON
DHCP기능을 활성화 하지 않았기 때문에 ip를 받을 수 없음
수동으로 네트워크를 설정
VMware 네트워크에서 설정한 아이피 대역에서 원하는 아이피를 설정
/24는 서브넷 마스크를 prefix로 나타낸 것으로
255.255.255.0을 의미
DNS 서버 설정
도메인 이름이 없으면 비움
디스크 전체 사용하고 LVM 설정 선택
LVM(Logical Volume Manager)
->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 처럼 사용할 수 있어서 디스크 추가 확장이 용이
네트워크 미러 사이트를 사용해야 나중에 apt, apt-get 사용 가능
프록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빈칸으로 놔둠
해당 오류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설정이 잘못 되어 있다는 뜻
Kali Linux를 설치하고 나중에 수동으로 설정하면 됨
설치가 완료되면 한글이 깨져서 나옴
수동으로 설치, 설정 해주어야 하는 것들이 있음
'Linux > Kal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ali]VMware Tools 설치 (0) | 2018.08.28 |
---|---|
[Kali]한글화 (0) | 2018.08.28 |
[Kali]네트워크 미러 사이트 오류 시 (0) | 2018.08.28 |